해당 범주에 넣은 이유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이해가 되어야만 다른 것들이
더 쉽게 유기적으로 이해되기에.. 여하튼 적어본다.
SSH가 뭐야?
- Secure Shell Protocol (네트워크 프로토콜)
-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타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하게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 프로토콜
- 공공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때 보안을 유지한 채 통신하기 위해 사용됨
- 안전한 채널을 선 구축한 뒤 정보를 교환함 = 최 강 보 안
- 타 프로토콜(FTP, TELECT 등)은 데이터를 암호화 하지 않아 보안 이슈가 발생함
- 인증 과정에 사용하는 키 : Public / Private KEY
Public KEY | 암호화 역할 (복호화 불가) |
Private KEY | 복호화 역할 (암호화 불가) |
SSH의 흐름
- Public KEY와 본체컴 통신 => 컴퓨터에 해당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달 => 클라 컴퓨터에 접속 요청 => 응답하는 컴퓨터에 복사되어 저장된 Public KEY가 해당 클라 Public KEY가 쌍을 이루는지 여부를 판별함 => 일치할 경우 암호화된 채널이 형성됨 => 메세지 암호화/복호화를 통한 데이터 운반
사용 예시
1. 데이터 전송
- github : 원격 저장소로 소스코드를 저장할 때 SSH가 활용됨
2. 원격 제어
- 클라우드 서비스 : 인스턴스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머신에 명령을 내릴 때 SSH가 활용됨
728x90
'slackbot, 크롤링 역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d] 사용하는 포트 확인하기 (0) | 2023.06.12 |
---|---|
[파이썬][slackbot] SLACKBOT에 파일 + 문자 보기 (0) | 2023.06.11 |
[ngrok][인프라] Forwarding 주소 접속이 안될 때 TIP (0) | 2023.06.10 |
[파이썬][FLASK] 끝없는 오류의 굴레...가상 환경 설정의 중요성 + 유용 정보 (0) | 2023.06.09 |
[파이썬] pip에 대한 이해 (0) | 202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