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도서 및 지식/강의 및 인사이트

    [ 동남아시아 ] 동남아시아 인사이트 얻기

    내 Project는 동남아 전반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단순 IT적인 지식 외에도 산업적인 구조, 성장률 등이 한국이랑 다른 구조이기 때문에 의도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그래서 내가 꾸준히 찾아 보는 것들을 공유해본다. 1. Tech in Asia - 우선 유료이다. 그래서 뉴스레터만 받아서 Title과 본문만 읽는 편이다 (트랜디한 숙어 및 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문법공부는 덤!).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어떤 것들을 주목해야하는지 Keyword가 무엇인지 확인이 된다. 2. momentum https://momentum.asia/ -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동남아시아의 산업 트랜드 및 사회적인 현상들에 대해 설명을 해주는 팟캐스트이다. 특히 인도네시아에 관련된 다양한 전문가들 견해를 얻을 수 ..

    [데이터][기획] ICE Score에 대하여

    빨리빨리의 민족에게 더 빠른 의사결정 방법론이 등장했다. 그 이름은 ICE Score. ICE Score - 그로스 해킹을 수행할 때 시행 여부,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에 자주 사용되는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 그로스 해킹 : 생산부터 관리까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그에 맞는 제품 만드는 것 - 하루, 혹은 1주 미만의 ASAP으로 의사결정과 시도를 한다. - 유저에게 영향을 얼마나 줄 수 있는지가 key - 선정 요소 3가지의 수치를 곱하여, 기능 및 아이디어의 우선순위 선정 * 3요소들의 우선순위는 매우 동등함 Impact : 비즈니스가 받는 영향, 타겟 지표에 가장 영향을 줌 Confidence : 성공 가능성에 대한 확신 = 고객에게 이게 없으면 지장이 생기는지? Ease : 완수를 위한 리소..

    [인프런] 비개발자를 위한 IT 직무 총정리! (IT 직무에 대해 이해하기)

    무료강의지만 유익하게 들은 강의라 적어본다 PM과 PO의 차이 PM - IA, STORY BOARD 작성 - 정책 작성 PO(유사 사업기획 = 비즈니스 전문가) - BACKLOG( 개발해야 할 기능 또는 제품에서 요구하는 기능과 우선순위 선정) 기반 일정관리 ㄴ 우선순위 선정법 https://brunch.co.kr/@mojuns/36 백로그와 우선순위 선정 백로그나 우선순위 선정이 중요한가요? 제품을 만드는 모든 과정이 시간적이나 비용적으로 여유롭거나 충분한 인력이 있다면 좋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러한 리소스가 부족하다. 그렇기 brunch.co.kr - 사업 로드맵 작성 - 애자일 방법론기반 문장으로 방향성 공유(IA,ST를 그리지 않음) - epic(대규모 작업) 선정 및 story(세분화 작업)..

    [PM][서비스기획] 01_[UI 컴포넌트별 > UX 원칙 #4] 스크롤 + 시그니파이어

    스크롤 - 선택 행위 최소화를 위해 단축해야 하는 기능 - 탭 메뉴 좌우 스크롤 시 좌우 클릭 이동 폭이 적절해야 함 (아래) 왼 사진의 경우 웹디 추천을 눌렀을 경우, 오 사진 처럼 두 칸 정도만 이동이 되어야 함 - 선택한 탭을 화면 중앙 배치 필요 단, 선택 탭이 가장 처음/끝 일 때는 중앙으로 이동하지 않고 배치 유지 - 탭, 카테고리, 상품에 대한 이미지는 스크롤 기능에서 스와이핑 기능 제공으로 편의성 제공 필요 빨간 네모 속 사진들을 약한 스와이핑 하면 약간 스크롤 내려감 / 세게 스와이핑 하면 많이 스크롤 내려가야 함 (아래) (+) 시그니파이어 - 스와이핑, 중앙으로 탭 배치 등 유저의 행위를 유도하는 장치 - 3원칙 원칙1. 사용자의 제스쳐 행위를 유도하는 장치일 것 원칙2. 폼 입력시 ..

    [PM][서비스기획] 01_[UI 컴포넌트별 > UX 원칙 #3] 체크 박스

    체크 박스 - 체크 박스는 디폴트 개념이 없음 (라디오 버튼과 큰 차이) - 1개 이상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 Cf. 독립 실행형 체크박스는 특정 조건의 동의 여부 확인/단위 확인을 위해, 폼 마지막 항목에 활용됨 - 사용자가 선택 옵션을 저장하거나 시스템 제출 전 확인 및 검토 시 사용 - 상위 옵션 내 하위 옵션 그룹화 형태 ui에서 사용됨 (토글 버튼은 이런 형태 불가능) 체크 박스의 인식성 - 체크 박스 영역이 충분해야 하므로, 박스 크기가 텍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야 함 - 체크 박스의 리스트는 한 줄에 한 개로 세로 형태 제공 단 체크 박스가 너무 많이 필요한 경우, 칩 버튼으로 대체하여 세로 가로로 확장 형태 제공 체크 박스의 선택 행위 최소화 - 디폴트를 비설정하여 유저가 스스로 ..

    리텐션을 위한 전략 - AARRR & 아하 모먼트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인하우스의 업무 방식에 대해 배우고 있다. SQL을 이해하는 역량이 왜 중요한지, 지표를 볼 줄 아는 능력이 왜 중요한지 몸소 실감하고 있는 요즘이다. 리텐션을 위한 전략이 왜 필요할까? 프로덕트의 존재 이유는 '지속적인 유저를 통한 이익'이다. 유저는 프로덕트를 통해 가치를 얻고 이 유저 행동이 반복되면 리텐션이 발생한다. 즉, 리텐션은 지속적인 이 가치를 지속하기 위해 사용을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는 프로덕트가 지속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는 증거이며, 이를 통해 프로덕트는 성공적인 이익을 얻게 된다. 리텐션의 기준은 어떻게 잡을까? 리텐션은 프로덕트, 기업의 목적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이를 측정 하기 위해 주로 믹스 패널, GA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