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강의지만 유익하게 들은 강의라 적어본다
PM과 PO의 차이
PM
- IA, STORY BOARD 작성
- 정책 작성
PO(유사 사업기획 = 비즈니스 전문가)
- BACKLOG( 개발해야 할 기능 또는 제품에서 요구하는 기능과 우선순위 선정) 기반 일정관리
ㄴ 우선순위 선정법 https://brunch.co.kr/@mojuns/36
- 사업 로드맵 작성
- 애자일 방법론기반 문장으로 방향성 공유(IA,ST를 그리지 않음)
- epic(대규모 작업) 선정 및 story(세분화 작업)
- 데이터 분석
P(roject) M과 P(roduct) M의 차이
P(roject) M
- 시작과 끝이 있는 SI,에이전시의 프로젝트를 맡는 매니저
- 핵심 능력 : 일정 내 런칭 => 요구사항 분석+ 의사결정자 니즈 파악 + 매니징
- 업무 과정 : 스켸줄 관리 (보고 ~확인) => 납기 시점 납품
P(roduct) M
- 한 번 시작하면 계속으로 가는 1개의 단일 프로젝트를 맡는 매니저
- 핵심 능력 : 고객의 니즈 충족 => 리서치 + 협업
- 업무 과정 가설 설정 (설문,인터뷰, A/B TEST) => 실험 => 데이터 분석 => 결과 기반 릴리즈
B2C와 B2B
B2C
- B2B와 함께 운영하는 경우가 많음(대표예 : 배민)
- O2O (= 온라인을 오프라인과 연결하여 서비스 공급) 기반
- 핵심가치 PMF (= Product Market Fit) : 고객이 느끼는 가치, 숨은 니즈 발견
- 핵심역량 : 가설 기반 데이터
B2B
- 사업자를 위한 BACK OFFICE위주 기획
- 핵심가치 PMF : 사업에 도움되는 가치, 비즈니스 프로세스 중심으로 기획
- 핵심역량 : 불편해도 꼭 필요한 기획을 해야 하므로 유저 인터뷰 능력
데이터 사용법
- 데이터 실무 사용 시나리오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가공 -> 데이터 활용 (Business / Product)
--> Business (사업 계획서 / 서비스 개선 / 마케팅 개선 / KPI 정의 및 측정)
--> Product (개인화 알고리즘 래퍼런스 / 서비스 품질 계속 고도화 / 기술개발에 따른 신규 기술 도입)
- 데이터 시각화 툴
- Flourish : 구글 시트 기반(1회성), 동적 차트 만드는 툴
- EX_연도별 랭킹 파악, 달 별 세계 분포도 파악
- 파워BI : MS제공 시각화 툴, db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리포팅(다회성)
- 데이터 스튜디오 : Google제공 시각화 툴, db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리포팅(다회성)
- Tableau : 원하는 표현 방식이 최다 구현 가능한 시각화 툴, 유저별 데이터 정보 상세 확인, db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리포팅(다회성)
퍼블리셔
- 개발 직전의 단계로 디자이너가 피그마/PPT형태로 데이터를 전달한 뒤, 이후의 작업
* 네이티브는 퍼블리싱을하지 않음 => 모바일, 웹 기반 하이브리드 서비스 작업시만 필요한 과정
- 최근엔 CSS프레임 워크가 고도화(EX_크로스 브라우징 과정 그룹화)가 최적화 되면서, FE가 해당 작업을 흡수함
- 작업
- 구조화 : HTML을 통한 레이아웃, 인터렉션, 구조 형성
- 스타일 : CSS를 통해 자간, 행간, 입력필드 스타일 등 구성
- 크로스 브라우징, 정보취약 계층 고려 작업도 함
- 인터랙션 : JS(자바스크립트)를 통한 무한 로딩, 슬라이딩 이미지등 인터렉션 행위 구성
개인 코멘트 : 개인적으로 실무보다는 취준이 들으면 방향이 더욱 명확해지는 느낌
B2B SI성 프로젝트만 맡았던 PM으로서 진짜 노올라운 수준으로 설명을 정확하고 깔끔하게 정리해줘서 놀랐다.
특히나 B2B 서비스를 맡은 경험으로 사이드 플젝을 하면서 느낀점이 그대로 설명되었다.
(EX_나는 무조건 비즈니스 프로세스 중심으로 세세하게 고려하는데 사프젝은 고객 가치 기반이므로 SKIP 시나리오가 있는 점 등)
하지만, PO,PM 구분은 사실상 무의미한 느낌..?
실무에서는 PM이 다 함.저정도로 나누면 중견급 이상 기업 레벨이라 생각됨(내 중견급 구회사 구성이 딱 그럼)
근데 한국 IT기업중에 중견급 이상이면서 주니어 뽑는곳..? 희박하다.
오히려 중견급 구직 시장은 대기업보다도 주니어를 키울 생각이 없어서, 그렇기에 중니어를 선호함
웹디자이너라는 구조화작업을 하는 직무는, 이제는 PM이 그 일을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 됨
출처 : [무료] 비개발자를 위한 IT 직무 총정리! 대시보드 - 인프런 | 강의 (inflearn.com)
'관련 도서 및 지식 > 강의 및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동남아시아 ] 동남아시아 인사이트 얻기 (0) | 2024.07.20 |
---|---|
[데이터][기획] ICE Score에 대하여 (0) | 2023.12.16 |
[PM][서비스기획] 01_[UI 컴포넌트별 > UX 원칙 #4] 스크롤 + 시그니파이어 (0) | 2023.11.29 |
[PM][서비스기획] 01_[UI 컴포넌트별 > UX 원칙 #3] 체크 박스 (0) | 2023.11.29 |
리텐션을 위한 전략 - AARRR & 아하 모먼트 (1)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