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과제/신사업 기획

    [사이드프로젝트] Ver.2.0 배포 완료 및 서비스 종료 - 회고

    사실 2차 배포(4월15일) 후 앱 종료 및 팀 정리는 5월 20일에 진행되었다. 그 기간에 실무에서 출장을 준비하고 있던 차라 블로그를 포스팅할 여유가 없었다. 1. 협업툴 사용 경험원래는 노션과 슬랙만으로 팀 및 서비스 운영을 해왔었다. 하지만, 여러 어려움이 발생했다. 1. 노션은 시간이 기재되지 않는다. 2. TASK별로 진척도를 정리하기엔 칸반보드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의 2차 협업툴인 Jira을 사용하게 되었다. N명까지 무료인데 우리 팀이 해당 정책에 포함이 될 수 있어서 돈을 내지 않고 이용할 수 있었다. 디자인 파트가 jira ticket을 사용하는 방법이 궁금했는데 팀원들이 사용하는 것을 보고 추후 디자인 파트가 있는 기업을 갈 때 소통하는 방식에 도움이 될 경험을 했다. ..

    [사이드프로젝트][역량] 마케팅 현황과 전략 수립

    요즘 좀 스터디에 소홀했던 것 같아서 정신다시 차리고 블로그를 적어내려가려 한다. 생각보다 배포한 앱의 지표가 좋지 못했다. 약간 침울하게 회의를 거듭하고 있는데, 사실 마케팅 역량 부족도 이유중에 하나가 아닐까 생각을 했다. 마케팅이 하기 싫어서 기획을 왔는데, 현업도 그렇고 결국 업무는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같다. 업사이드 성공 비결 1. 개인화된 서비스를 통한 최적화된 추천 : 정말 필요한 정보만 제공하여 정보 양 조절 2. 단골 차별화 전략 : 단골 고객에겐 더 집중적인 캐시백 혜택을 부여하여 연결성 증대 3. 유관 서비스 추천 기능 : 데이터를 기반한 의사결정 출처 : https://www.ttimes.co.kr/article/2024010813107795034?ref=face&fbclid=I..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앱 배포와 회고

    앱을 배포했다. 사실 배포시점은 안드로이드까지 배포한 기준으로 12월초이다 (두 운영체제의 배포 시점이 달라서 명확히 기억이 안남) 즉, 비사이드에서 요구한 최종 마감시점보다 1달 일찍 배포를 한 셈이다. https://bside.best/projects/detail/P231010113505 마케팅 전략과 그 결과에 대한 회고 - 캠페인 첫 일주일 리텐션(2주차): 16.5% (SNS : 당근마켓(성수), 네이트판) => 소셜사이트 추가로 홍보 진행 최종 주차 리텐션 결과 1) 기간 : 12/21~1/3 (3주) 2) 방법 : 총 11개 커뮤니티 글 작성 및 홍보 (뽐뿌, 네이트판, IT교류 톡방 등) 3)결과 ㄴ14일 차 리텐션 6.3% ㄴ bitly 기준 클릭수 상위 3개 커뮤니티 : 디자이너톡방, ..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링크 활용한 정량 데이터 모으기 + QA검증하기 + 4LS회고

    URL로 정량 데이터 수집하기 전번 리스팅한 사이트들을 활용하기 위해 URL 전략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흔히 아는 Bitly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유료 플랜을 가입하면, 이렇게 UTM을 심을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한 개씩 사이트 혹은 집단별(EX_20대 커뮤니티, 30대 취미방) 링크를 뿌리고 GA처럼 해당 CPC를 확인 할 수 있다. * CPC : 클릭당 비용, 광고의 클릭수를 기반으로 SNS에 업로드 하는 광고 지불하는 금액, 통상 클릭률 성과(매출)를 향상 혹은 특정 행동(예: 웹사이트 방문, 앱 다운로드 등)을 유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 노출 횟수는 적지만, 광고가 타겟 고객에 좀 더 맞춤화되고 사용자가 그 광고에 클릭한 경우에만 비용을 지불하면 됨 QA 검증하기 사실 우리는 따로 QA ..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Testflight 앱 테스트와 AOS,IOS 배포 (모르면 예상할 수 없는 변수들 공유) + 마케팅 전략 수립

    Testflight 앱 테스트하기 - 처음에 사프젝할 때 제출한 구글계정으로 애플 id가 없어서 재생성하는 뻘작업을 했다 - 그리고 이 앱 테스터는 실기기 맥스 등록수가 있다 하니 주의할 것 - 가입방법 https://m.blog.naver.com/younsung0327/221317237699 심사용 요건은 ios/aos로 나뉘어서 기본적인 틀은 같지만, 상세 항목의 차이가 있다. 이 부분을 염두해서 준비하면된다. 기획 파트에서 설명, 태그 등을 작성하여 개발파트로 전달하였다. os별 담당 개발자가 각 스토어에 올릴 준비 한 뒤, ios/aos를 나눠서 초대를 보내주어야 한다. Testflight 를 미리 다운한 뒤 이 이메일이 view in Testflight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랜딩 이미지를 ..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기획 피드백 3차 + ERD개념과 테이블 PK,FK 설정 + GA 세팅 및 데이터 정량 분석

    기획 피드백 3차 - 기존 전환 모달 기획안 UI측면의 가시성을 위해 아코디언 효과로 처리 - 그 외 세부사항 정리 => 기획은 서비스 시작부터 끝까지 끊임없이 케어해야 하는 걸 체험하였기 때문에 요즘 많은 기업에서 요구하는 기획자의 PM 겸업이 어찌보면 당연하다 생각되었다. 테이블별 PK,FK 설정 사실 실무에서도 안해본 내용이라 너무 재밌고 유익한 작업이었다. - 목적 : 개발자가 테이블을 만들 때, 유저 관점 시나리오에서 어떤 연결 흐름이 있는지 바탕으로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함 - Q.가장 필요한 테이블이 뭘까? A. 기획서를 기반으로 보았을 때, 1) 회원가입이 있으므로 회원 T ㄴ 회원ID, 닉네임 등 세부 기획 항목 2) 지도 정보를 기반으로 스팟을 제공하기 때문에 스팟T ㄴ (지도의 기본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