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ACID기술에 의거한 표준화된 구조질의가 있는 관계형 구조
*A(u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
SQL DB?
1. 데이터 무결성과 일관성이 중요한 트랜잭션 업무 수행
2. 집계 및 통계 분석 용이
3. 데이터 정합성 맞춤 용이
MYSQL은 확실히 postgreSQL이랑 좀 다르다.
내가 알고있을겸, 공유겸 적어두는 문서
[ SCHEMA생성하기 ]

2. import 파일 넣기 (cvs, json 다 가능)

!! 이 때 각 컬럼 정의를 잘 해주어야 한다. text면 text.. int면 int
- 공간데이터 개체 : geometry type
- 정수형 데이터 타입 : tinyint(n) / smallint(n) / mediumint(n) / int(n) / beginint(n)
- 소수형 데이터 타입 : 고정=decimal(m,d) , 부동 4byte = float(n) , 부동 8byte = double(n)
[ unsigned 의미 ]
- 모든 int(정수)형이 가진 속성
- 음수가 있어서는 안되는 경우 활용
- col 내 음수를 포함하지 않거나, range를 양수쪽으로 넓게 가져야 할 때 사용
EX_ 그냥 INT(10)이었으면 -10자리~10자리 => INT(10) UNSIGNED이면 0~확연히 큰 10자리
우선은 이정도.. 우리회사는 RDBMS를 쓰니까 이 부분도 적을 예정이다.
'분석 역량 > 데이터 분석(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통계 프로그램 R studio 사용하기 (2) (0) | 2023.01.06 |
---|---|
[R] 통계 프로그램 R studio 사용하기 (1) (0) | 2023.01.06 |
[SQL] 자주 쓰지만 헷갈리는! SQL 예제 정리하기 (1) | 2022.12.24 |
[SQL] 자주 쓰지만 헷갈리는! SQL 구문 정리하기 (0) | 2022.12.24 |
PM이 데이터를 알아야 하는 이유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