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를 하다보면..
(1) 로그를 봐야할 경우가 갱장히 완전히 많이 생긴다.
그래서 개발자 도구/elk 로그를 활용을 하는데,show만 될 뿐 update를 칠 수가 없다.
(2) 개발자에게 일일히 봐달라 하기가 곤란한 상황이 생긴다.
그래서 개발자 도구를 활용을 하는데, 얘는 update를 칠 수가 없다.
그래서 사용하게 된 것이 postman
POSTMAN이 뭐야?!
편리하게 api 개발을 할 수 있게 해주고 개발된 api를 문서화, 공유화 하게 함
REST API를 표현함 = URL로 제어할 것을 명명하고 HTTP를 통해 제어를 실현
사실 비개발자가 알고 있으면 되는 기능은 아래 두개면 된다.
1. 변수 사용
정해둔 변수 부분은 기입의 귀찮음을 해소해줌 (일괄 기능)
희미한 선으로 구분된 것이 보이는가?
globals : 전역변수=어떤 환경에서도 접근 가능 (함수의 외부에서 선언된 변수) , 1순위
선 밑 직접 설정한 환경 : 지역 변수= 특정 지정 환경에서만 접근 가능
2. Collections 사용
필요시 재사용이 편하도록 묶어둔 형태
각 기능을 찢어서 확인해보자
그 전에 알아야 하는 용어부터 소개한다.
쿼리
-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 요청을 문의하고자 작성하는 명령어
- 접근법 : 매개변수 목록 제시 / 예제 작성으로 접근(QBE) / SQL 언어 사용
=> 우리가 POSTMAN에서 선택하는건 매개변수 목록 제시
- 웹은 데이터를 불러올 때, GET METHOD를 사용하여 URL 끝단에 쿼리 매개변수를 문자열로 포함함
EX) http://127.0.0.1:8000/items/?skip=0&limit=10 (쿼리의 매개변수 = skip: 값 0 , limit: 값10)
- 매개변수는 고정값이 아니지만 기본값이 존재하고, 선택도 가능함
EX) http://127.0.0.1:8000/items/ = http://127.0.0.1:8000/items/?skip=0&limit=10 (쿼리의 매개변수 = skip: 값 0 , limit: 값10)
http://127.0.0.1:8000/items/?skip=20 (쿼리의 매개변수 = skip: 값 20 , limit: 값10)
http://127.0.0.1:8000/items/?limit=20 (쿼리의 매개변수 = skip: 값 10 , limit: 값 20)
요청 매개 변수 표현방식 : 쿼리 q와 QA
- 앞에 ? 들어감
- 매개변수가 여러개인 경우 &로 연결됨
- 구조는 KEY=VALUE
- q : 쿼리를 나타내는 키
- QA : 쿼리 키, 검색어 값
EX) ~ search?q=강아지&rlz=1C~~ ( KEY q 와 VALUE 강아지, &로 연결하여 KEY rlz 와 VALUE 1C~)
* rlz는 라이브러리
1. params
서버에서 추가 데이터를 보내는 역할
URL을 이해하면 편함
(1) 데이터를 불러오려 할 때 - 매개변수 1개
- METHOD : GET
- PARAMS : KEY q / value 강아지
(2) 데이터를 불러오려 할 때 - 매개변수 N개
- METHOD : GET
- PARAMS : KEY q / VALUE 강아지 & KEY rlz VALUE 1C1GCEU_koKR1021KR1027 & KEY aqs / VALUE & chrome..69i57j69i59.1201j0j7 & KEY ie / VALUE UTF-8
2. Authorization
- API 사용 가능한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는 인증시스템
- Bearer Token
- API Key
3. Header 와 Body
- JSON 형식으로 입력한다.
- Authorization 입력이 귀찮으면 Header에 key-value 저장해서 사용도 가능(콜렉션화를 더 추천하긴 함)
- GET METHOD는 따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 POST METHOD는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Header key: Content-Type, Value: application/json / Body raw 선택하고 json 파라미터 입력
- Header key: Content-Type, Value: x-www-form-urlencoded / Body x-www-form-urlencoded 선택하고 key,value 맞게입력
(+) 다양한 연습이 필요할 경우, 공공 포털 API를 활용해 연습해보면 된다
상세 설명은 아래 URL 참고 https://jung-story.tistory.com/135
출처 :
https://velog.io/@shawnhansh/Postman-Authorization에-토큰-추가하기
https://incheol-jung.gitbook.io/docs/q-and-a/infra/2018-01-03-how-to-use-postman
https://fastapi.tiangolo.com/ko/tutorial/query-params/
'slackbot, 크롤링 역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rok][인프라] Forwarding 주소 접속이 안될 때 TIP (0) | 2023.06.10 |
---|---|
[파이썬][FLASK] 끝없는 오류의 굴레...가상 환경 설정의 중요성 + 유용 정보 (0) | 2023.06.09 |
[파이썬] pip에 대한 이해 (0) | 2023.06.09 |
[파이썬][APPS SCRIPT] 알람을 목적한 슬랙봇 만들기 (0) | 2023.06.08 |
[ 실무 속 사소한 TIP ] 파이썬 코드 입력해서 돌리기 (0)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