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 정의 : 라우터를 통한 여러 컴이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
- 라우터 = 네트워크 관문으로 기본 게이트 웨이( = 자신 이외 접속된 모든 것)
- 라우팅 = 호스트에서 호스트로 데이터 전달
- 게이트웨이 = 데이터 전송시의 LAN 내부 출입구, 인터넷 연결=게이트 웨이 설정
- 특징 : 서버(인스턴트)가 어떤 환경에 설치되었는지 & 인터넷에 연결해야하는지 설정 필요
- 정의 : 라우터를 통한 여러 컴이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
- E2C :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직접 설치하고 운영해야 함
- 구성 : 인스턴스(가상 서버)&AMI(인스턴트 생성 기준이 되는 가상이미지)&키페어(인증용)&EBS(스토리지)&보안그룹&엘라스틱IP(IPv4)
- 데이터
- 기본적으로 통째로 검색되며 이는 요금이 부과됨
- 볼트라는 컨테이너에 저장되어, S3버킷으로 옮겨줘야함
* 버킷 = 객체저장의 컨테이너, 저장한 파일명은 객체
-
- 스토리지 클래스 : 버킷단위가 아닌 객체(파일) 단위로 클래스 선택가능
- 데이터 베이스 : 규칙형 명령어SQL로 이루어진 DB
- 관계형DB = RDB = 세세한 설정값을 통한 표 구축
- 비관계형DB = 비RDB
- AMI : EC2를 지탱하는 대표적 요소, 작성을 스냅샷으로 진행
- 소프트웨어 구성을 기록한 템플릿, 서버디스크에 설치한 내용이 통으로 들어있어 ami에서 인스턴트 생성시 전부 복사됨
- 스냅샷 : 한시점의 서버 디스크 상태를 통으로 보존한 폴더, 파일 집합(os & sw 정보 등 모두 포함)
- vpc :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라우터, 설정된 라우팅 테이블에 따라 라우팅 수행, 라우터 없이 직접 통신가능, IP주소 없음, 인터넷 연결여부 및 오토 스케일링 설정 필요 *일반 서브넷은 라우터로 통신을 진행
- VPC주요기능 = CIDR블록(서브넷) + 서브넷마크스(네트워크 크기 계산) + 가용영역(서브넥 구축 물리적 장소) + 인터넷 게이트웨이(인터넷 접속용 출입구) + 라우팅(데이터 보낼 곳 조정) + 라우팅 테이블 + 보안그룹 (가상 방화벽) + 네트워크 ACL(AWS제공 가상 방화벽, 개별 인스턴트 설정 필요X)
-
- 서브넷 설정법 : 커다란 네트워크를 나눠 범위를 축소하고 방화벽을 설정하는 것, CIDR(서브넷 범위 표기법으로 IP주소 수 표현)블록에 네트워크 범위 설정 후 서브넷으로 나눔
- 네트워크 및 서브넷의 IP 주소 : 범위 관리자가 설정 가능, DHCP에서 각 호스트(인스턴트)에 IP주소 자동할당
- 서브넷 설정법 : 커다란 네트워크를 나눠 범위를 축소하고 방화벽을 설정하는 것, CIDR(서브넷 범위 표기법으로 IP주소 수 표현)블록에 네트워크 범위 설정 후 서브넷으로 나눔
-
- 오토스케일링 : 서버 액세스 상태 따른 서버 대수 조절 기법, 서버자동 수 증가 = ip많이 필요함
-
- IP 마스커레이드 : 회사 내 공동 IP주소의 변환 , 내=>외만 가능, 공인IP하나만 보유=1대다(NAT으로 여러개 설정 필요시 보정함)
-
- WAN : 네트워크 간 연결을 통한 구축
- 네트워크 클래스 : A가 가장 넓고 ip주소도 많음 ( NAT : 네트워크 주소 변환)
- WAN : 네트워크 간 연결을 통한 구축
* sftp : ssh로 암호화된 파일 전송 프로토콜
* 키페어는 공개,비밀키 합 한쌍으로 로그인 인증용
* 수신요청 = 필요요청 = get / * 송신요청 = 저장요청 = put
* 포트 = 통신의 입구(EX- HTTP의 포트는 80)
728x90
'관련 도서 및 지식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련 필사 : 법륜 스님 말씀 (0) | 2024.06.23 |
---|---|
UX가 중요한 이유 - 일단 해보라구요? UX (0) | 2023.06.01 |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 서버 개념을 중심으로 (0) | 2022.12.16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2) | 2022.12.16 |
네트워크 이해하기 (책 : 그림으로 배우는 HTTP NETWORK Basic) (2) (0) | 2022.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