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 진짜 노식걸 열라빡치는 아이..
결론적으론, compass는 사용법이 따로있었다.
공홈에서 잘 설명해두심 : https://www.mongodb.com/docs/compass/master/query/filter/
Query Your Data — MongoDB Compass
Docs Home → MongoDB Compass You can type MongoDB filter documents into the query bar to display only documents which match the specified criteria. To learn more about querying documents, see Query Documents in the MongoDB manual.In the Filter field, ente
www.mongodb.com
우리는 기본적으로 얘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조회한다.
왜냐? 난 Aggregations은 시각적으로 복잡해서 머리아파서 안쓰기 때문이다.

Filter | 앞에 굳이 find등 함수 쓸 필요x(집계함수 등 제외) |
Project | 특정 필드 출력 포함 여부 지정 - 포함 = 1 - 제외 = 0 |
Sort | 쿼리 결과 정렬 - 오름차순 = 1 - 내림차순 = -1 |
Collation | 새로운 모음문서 |
일단 용도만 알면 쉽다.
따로 원리 원칙이 있으나,,사실 조회가 목적이면
""를 붙이지 않아도 알아서 도출된다.
뭔가 답이 없더라도 식을 나올만하게 작성하면 find가 저렇게 초록색으로 변한다.

(+) 와 나 몰랐는데..
블로그들에서 공유해주는 쿼리문은 여기 적는거라고 한다. 진짜 처음알았다. 이 마 탁.

저 빨간박스에 단어 MONGOSH을 누르면

쿼리문 입력창이뜬다ㅡㅡ와.. 이걸 왜몰랐지?
일단은 이정도만! 내부 데이터는 공개 안돼요ㅠㅠ~
728x90
'분석 역량 > 데이터 분석(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데이터 분석 실습 : 단어구름 패키지 + 실습 오류 정리 (0) | 2023.01.12 |
---|---|
[R] 통계 프로그램 R studio 사용하기 (2) (0) | 2023.01.06 |
[R] 통계 프로그램 R studio 사용하기 (1) (0) | 2023.01.06 |
[SQL] MYSQL 알아보기 (0) | 2023.01.03 |
[SQL] 자주 쓰지만 헷갈리는! SQL 예제 정리하기 (1)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