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네트워크 이해하기 (책 : 그림으로 배우는 HTTP NETWORK Basic) (2)
사실 책이 전공자용이라 뒤로 갈수록 정보보안이랑 엮는 등 딥한 내용이 많다. 하쥐만 필요한 용어정도만 정리를 해봤다. 책을 다시 읽는 것보단 나도 내 정리본을 읽고 용어를 눈에 익혀야겠다~.~ [ 스니퍼 ] : 패킷 수집시 사용하는 해석 툴 - 클라이언트 가동 방식 : 주소(url)로 웹 서버 리소스 파일의 정보를 얻어 작동 [ HTTP암호화 ] : 도청, 변조, 위장에 취약하므로 보호 정책이 필요함 - 클라측에서 JavaScript로 체킹하나 UI향상 수준(입력실수 찾기)이지 변조된 경우는 잡아낼 수 없음 통신암호화 SSL이나 TLS 등 타프로토콜 조합으로 통신 암호화 HTTTPS, HTTP over SSL 콘텐츠암호화 HTTP 메세지에 포함되는 운반되는 콘텐츠를 출력 처리시 암호화 웹 서비..

네트워크 이해하기 (책 : 그림으로 배우는 HTTP NETWORK Basic) (1)
회사에 다정한 선배님들, 첫! 담당 사수님이 생겼다. 내 사수께서 클라(프론트)와 네트워크에 대해 알려주고 싶다며 책을 대여해주셨다. (눈물줄줄) 그래서어~ 열심히 공부 및 암기를 해보았다. 간략히 설명과 용어를 공유하고자 한다. [ 클라이언트 ] 서버를 의뢰하는 웹 브라우저 - 클라이언트 가동 방식 : 주소(url)로 웹 서버 리소스 파일의 정보를 얻어 작동 [ URI(리소스 식별자) ] : HTTP, FTP, MAILTO, TELNET.. - URL : URI의 서브셋, 리소스의 장소를 나타냄 [ 메소드 ] :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리퀘스트를 보냄 - GET, PATCH, PUT, POST, DELETE [ 프로토콜 중 TCP/IP ] : 인터넷 네트워크를 움직이는 프..

IT기업 비개발자가 알아야 하는 기초상식 (2)
클라우드 / 온프레미스 서버 : 단말기 넘어로 네트워크 통신하는 시스템 DB : 공유 목적으로 체계화 하고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 모음 클라우드 컴퓨팅 자세한 소개 : https://blog.naver.com/bbyubb/222872329155 클라우드 웹 서버 원격환경으로 운영 클라우드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 DB자동백업 쉬운 마이그레이션 전문가가 없어도 사용 가능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 필요부분만 비용 지급 고비용 제한된 접근 권한 온프레미스 물리적 전산실 서버를 구성하여 운영 1. 세부적인 것도 사용자가 설정 가능 2. 서비스 맞춤형 최적화 가능 3. 고비용(물리적 구현이 요구됨) 전문가 필요 모든 자원을 직접 운영 = 전문가 필요, 큰 유지보수비 물리적 공간 필요 로그 IT인프라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

IT기업 비개발자가 알아야 하는 기초상식 (1)
우리 회사에서 사용되는 몇가지 개념들을 공부하다가, IT기업을 다닌다면 비개발 직무 누구든 이런 기초적인 것을 알고 있으면 좋을 것 같아 공유하고자 글을 써본다. IT기업의 업태분류 SW(소프트웨어) HW(하드웨어)를 제외한 컴퓨터 내 모든 프로그램 솔루션 사용자 니즈에 맞게 모듈화한 SW패키지(무형)나 해결하는 HW(유형) SI 기업이 보통 고객사의 업무 시스템(무형솔루션)을 제작하여 납품 플랫폼 SW + HW를 포괄하는 APP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술 환경 = 직접 특정업무 수행X, 수행의 징검다리나 수행가능한 토대를 제공 소프트웨어/하드웨어/서비스 플랫폼 EX)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WINDOWS, 애플의 Mac OS API 특정 정보를 제공할 목적의 웹서비스 형태 명세서 F/E에서 ..

[ SQL ] postgreSQL : 불필요한 DB삭제하기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사용자가 액세스하기 시작했습니다 뜨는 경우)
TEST를 해본다고 너무 많은 DB를 만들었다. 삭제 법을 몰라서 찾다가 공유한다. [ 불필요한 DB삭제 ] DROP DATABASE 삭제할DB; [ DROP문 시행 후,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사용자가 액세스하기 시작했습니다' 뜨는 경우 ] - postgreSQL의 DB 생성 특징(CREATE) : DB 생성보다는 복사의 의미. 따라서 기존 DB(동일 템플릿)을 세션연결을 끊어야 함 방법1) postgreSQL 프로그램을 껏다 킨다(접속 차단 후 재접속 개념) 방법2) 연결된 DB를 확인한다 1. 전체 DB 확인차 SELECT문 입력 (필수 STEP아님) SELECT * FROM pg_database 2. DB를 확인 3. 접속중인 세션 정보 목록을 확인한다. SELECT * FROM pg_stat_ac..

[GA] 사이트에 GTM 심기
목적 현 회사의 PRODUCT는 ADMIN (SaaS) 플랫폼이다. 거기에 내가 맡고있는 서비스의 이용자는 CS센터 및 FA(서비스 설비 관리)자이다. UX경험 지표를 확인하여 PRODUCT를 고도화하는 작업을 진행을 위해 TEST가 필요하였고, 개인 블로그에 TEST 삼아 GA를 설치하게 되었다. GA를 위한 GTM 설치 - GTM = 계정 & 컨테이너 & 태그 (1) 계정 : 환경을 구성할 권한 (2) 컨테이너 : 태그 관리 환경 (3) 태그 = 트리거 + 변수 1. 구글 태그매니저(이하 GTM) 계정 생성 2. GTM 태그 관리자의 태그 복사 3. 티스토리 관리 페이지의 스킨 편집 > HTML 수정 선택 4. 용 코드 붙여넣기 5. 용 코드 붙여넣기 6. 정상 코드 설치 되었나 구글 개발자 도구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