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P 결과(정책 수립 + 상위 기획)
- TEST 플랫폼 : 토스 애즈
- 결과
- 페르소나로 선정한 20~30대 여성이 아닌 '40대 여성'의 인입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옴
- 기존 TEST 대비 (CTR 0.34%,CPC 1069원) 광고 배너 이미지 개선 + 문구 개선으로 CTR 7.4%, CPC 77원으로 지표개선
* 기존 TEST = https://chobotogosu.tistory.com/157- CTR = 광고 게재 수 대비 광고 클릭수
- CPC = 클릭 당 발생하는 비용
- A/B 중 B컨셉인 ' 직관적인 문구의 광고 배너'가 더 많은 인입률과 반응을 보임


Q. 왜 리서치와 상위 분석을 통해 선정된 페르소나가 아닌 다른 고객군이 가장 높은 인입률을 보인걸까?
A. 확인결과 광고 플랫폼으로 사용된 토스애즈는 핀테크 앱으로 해당 기능 주사용 연령대가 40대+여성
=> TEST를 실험하는 플랫폼의 주고객층에 따라, 편향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 플랫폼에 대한 사전 고려가 필요하다.
상위 기획에 대한 피드백
- 모달 움직임 현상에 대한 수정 (모달 내 페이지네이션 -> 무한스크롤)
- UIUX 디자인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확인됨
- 앱스토어 인입 후 상위권 점유를 위한 전략 필요
- 개발자 관점에서 앱스토어 인입 시 카테고리 정립 필요
- 카테고리 : 엔터테인먼트
- 앱스토어 검색결과, 해시태그가 결과값도출에 중요함 (카테고리 < 해시태그)
- 프로필 기획은 PHASE2로 이관
- 개발자 관점에서 개발 우선순위를 꼽았을 때, 마감일 고려하여 필수 기능이 아니므로 후순위화 필요
- 내 위치 새로고침에 대한 주기 설정
- 개발자 관점에서 고객 움직임과 새로고침을 주기 고려를 통한 개발이 필요함
=> 개발자와 디자이너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 어떤 것을 우선순위로 고려해야 하는지 깨닫게 됨
약관 고도화(수집 유무에 따라 바뀌는 정책)
- 소셜 로그인은 각 소셜별 수집 항목이 상이하다
1. 구글(Google):
Google Identity Platform: https://developers.google.com/identityGoogle Sign-In
API: https://developers.google.com/identity/sign-in/webGoogle People
API: https://developers.google.com/people
2. 애플(APPLE)
Apple Developer Documentation: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Sign in with Apple
REST API: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sign_in_with_apple
3. 네이버(Naver)
https://developers.naver.com/docs/login/overview
- 위치 정보 권한은 OS에 따라 세부 정책이 다르다
- AOS
- 권한 사용 방법 store에 명시 필요
- 안드로이드는 OS 버전에 따라 권한 요청 방법이 달라짐
- 11버전을 기준으로 권한 요청 다이얼로그에 앱 사용 중에만 허용, 이번만 허용, 거부 등 세 가지 선택지가 제공됨
- ‘이번만 허용'은 일회성 권한으로 앱 종료 후 재 실행 시 다시 요청해야 합니다. 거부를 두 번하면 다시 보지 않기를 의미하기에 다시 요청 할 수 없음
- 앱이 위치 정보 권한을 요청할 때마다 팝업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거부를 두 번 선택하면, '다시 묻지 않음'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이 표시됨 이 경우, 앱은 다시 권한을 요청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휴대폰 설정으로 권한을 변경 필요
- IOS
-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위한 앱 추적 투명성 업데이트
- 권한 사용방법 App store에 명시
- 사용자가 거부를 선택하면, 앱은 다시 권한을 요청할 수 없어, 사용자가 거부를 선택한 후에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면, 앱은 사용자에게 설정 메뉴에서 권한을 변경하도록 안내하여 사용자가 휴대폰 설정으로 권한 변경 필요
- 정보 수집 동의 관련 내용은 '저장'에 따라 약관 필요성이 판가름 된다
- 개인정보보호법 : 기재 필요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 기재 필요]
- 위치정보는, 서비스 내에서 위치정보가 활용되고 삭제되는 경우이므로 법령논의필요X
- 권한은 내 위치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므로 그 외의 경우, 유저 권한 필요 없음
- 위 내용 관련 모음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법과 소셜로그인은 관련이 있습니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법은 정보통신망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보호, 이용자 권리 보호, 이용자 편의 증진 등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입니다. 이 법은 개인정보 수집, 이용, 제공 등에 대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소셜로그인은 사용자가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예: 페이스북, 구글, 네이버 등)을 통해 다른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방식입니다. 소셜로그인을 사용하면 회원가입 절차를 간소화하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법은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제공 등에 대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소셜로그인을 통해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도 이 법의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소셜로그인을 통해 얻은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되어야 합니다.
=> 서비스를 기획함에 있어서 다양한 옵션과 상세한 조건 사항을 가릴 줄 아는 능력이 필요함을 배우게 됨
'실전과제 > 신사업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기획 피드백 3차 + ERD개념과 테이블 PK,FK 설정 + GA 세팅 및 데이터 정량 분석 (0) | 2023.12.07 |
---|---|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상위 기획 피드백 2차 + 개발단과 ERD 논의하기 + 지표 검증을 위한 가설 수립 (0) | 2023.11.27 |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5. 가설 오프라인 검증 및 시장 리서치 + UT를 위한 MVP 제작(정책 수립 + 상위 기획) (0) | 2023.11.06 |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2. 상위 아이템 선정 + 2차 미팅 (아이템 최종 선정) (0) | 2023.10.26 |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1. 0차 미팅 (킥오프) + 1차 미팅(아이디에이션) (0) | 202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