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 성과 영역 항목
- 효과적인 측정 (지표,기준) 마련
- 관련성 있는 것만 측정하는 지표의 메트릭스
- 성능, 기술적 성과 등을 보여주는 인도물 메트릭스
- 작업 진척도(리드타임, 사이크타임 등) 대한 확인
- 계획 시간 대비 실제 시간에 대한 정립
불확실성 성과영역
- 불확실성 = 리스트, 모호성, 복잡성, 변동성(volatility), 리스크 : 기회나 위협을 유발
- 일반적 불확실성 : 프로젝트에 내재된 예측 불가 결과를 가져오기도 함
- 불확실성 솔루션 : 정보 수집, 여러 결과 대비책 마련, 세트 기반 설계, 복원력 구축
- 모호성 : 현재, 미래 조건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
- 탐구 솔루션 : 점진적 구체화, 프로토타입 활용, 실험
- 복잡성 : 인간의 행동, 시스템 작용, 모호성으로 도출된 관리 어려운 특성
- 해결 솔루션 : 시스템 기반재구성(reframing), 프로세스 기반 활동
- 변동성 : 기량이나 자재에 지속적 변동으로 발생
- 해결 솔루션 : 대안 분석, 비용 및 기간 예비의 활용
- 리스크 : 부정적 리스크 , 긍정적 리스크로 분류됨
- 해결 솔루션 : 애자일의 경우 스크럼 및 회고 미팅, 위협을 줄이는 활동 전개
- 일반적 불확실성 : 프로젝트에 내재된 예측 불가 결과를 가져오기도 함
- 불확실성 기여 환경 : 신기술, 가격 변동성, 자원 가용성, 작업 조건, 법률적 제약, 조직 내외 정치력
- 효과적 불확실성 성과영역의 결과
- 프로젝트 발생 환경에 대한 인식
- 불확실성에 대한 사전 예방적 탐구 및 대응
- 프로젝트에서 여러 변수의 상호의존성 인식
- 위협과 기회를 예측, 문제의 결과를 이해
- 목표에 맞춘 원가 및 일정 효과적 활용 (cost, schedule)
- 팀의 불확실성 대응에 대한 긍정적 평가
조정(Tailoring)
- 프로젝트관리 접근 방법,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개개별 환경에 적합히 적용
- 조정 가능 대상 : 생애주기 및 개발방식, 방법(Method) 및 결과물(Artifacts), 참여, 프로세스, 도구
- 조정 프로세스 : 초기 개발방식 선택 -> 조직에 맞게 조정 -> 규모, 중요성, 요인 고려한 프로젝트에 맞게 조정 -> 검사와 조정으로 지속적 개선 구현
모델, 방법 및 결과물(가공품)
- 모델(Model) : 22개의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현상 설명의 사고 전략
- 방법(Method) : 58개의 성과(Outcome), 산출물(Output), 결과(Result), 프로젝트 인도물(Deliverable) 달성 수단
- 결과물(Artifact) : 76개의 템플릿, 문서, 산출물, 프로젝트 인도물
강의 후기 : 글쎄..너무 표면적인 이야기만 전달받지 않았나 하는 느낌이 있었다. 사실 PMP 책을 봐야 알겠지만,, 실무자가 아니여도 당연히 알 만한 내용들을 들은 느낌이랄까.. 물론 강의에서 다양한 시각 자료 그리고 중요 단어들을 복기 시켜주는 것은 좋았다! 다만 그 와중에 아쉬움을 말하는 것 뿐.. .. PMP 맛보기 끝! 자 이제 책을 사서 공부해봐야겠다 !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UigEAIkJP1c (49분 이후부터)
728x90
'관련 도서 및 지식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 BOK] 7판 1시간 만에 끝내기 - 제 3강(1) (0) | 2023.05.08 |
---|---|
[PM BOK] 7판 1시간 만에 끝내기 - 제 2강 (0) | 2023.04.27 |
[PM BOK] 7판 1시간 만에 끝내기 - 제 1강 (0) | 2023.04.09 |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 실기 접수일 공유 (0) | 2023.03.23 |
[ 정보처리기사 기사패스- 정보처리기사 필기 적중문제 ] 오답 및 추가 상식 요약(5파트) (0) | 2023.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