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PM][서비스기획] 01_[UI 컴포넌트별 > UX 원칙 #4] 스크롤 + 시그니파이어

    스크롤 - 선택 행위 최소화를 위해 단축해야 하는 기능 - 탭 메뉴 좌우 스크롤 시 좌우 클릭 이동 폭이 적절해야 함 (아래) 왼 사진의 경우 웹디 추천을 눌렀을 경우, 오 사진 처럼 두 칸 정도만 이동이 되어야 함 - 선택한 탭을 화면 중앙 배치 필요 단, 선택 탭이 가장 처음/끝 일 때는 중앙으로 이동하지 않고 배치 유지 - 탭, 카테고리, 상품에 대한 이미지는 스크롤 기능에서 스와이핑 기능 제공으로 편의성 제공 필요 빨간 네모 속 사진들을 약한 스와이핑 하면 약간 스크롤 내려감 / 세게 스와이핑 하면 많이 스크롤 내려가야 함 (아래) (+) 시그니파이어 - 스와이핑, 중앙으로 탭 배치 등 유저의 행위를 유도하는 장치 - 3원칙 원칙1. 사용자의 제스쳐 행위를 유도하는 장치일 것 원칙2. 폼 입력시 ..

    [PM][서비스기획] 01_[UI 컴포넌트별 > UX 원칙 #3] 체크 박스

    체크 박스 - 체크 박스는 디폴트 개념이 없음 (라디오 버튼과 큰 차이) - 1개 이상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 Cf. 독립 실행형 체크박스는 특정 조건의 동의 여부 확인/단위 확인을 위해, 폼 마지막 항목에 활용됨 - 사용자가 선택 옵션을 저장하거나 시스템 제출 전 확인 및 검토 시 사용 - 상위 옵션 내 하위 옵션 그룹화 형태 ui에서 사용됨 (토글 버튼은 이런 형태 불가능) 체크 박스의 인식성 - 체크 박스 영역이 충분해야 하므로, 박스 크기가 텍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야 함 - 체크 박스의 리스트는 한 줄에 한 개로 세로 형태 제공 단 체크 박스가 너무 많이 필요한 경우, 칩 버튼으로 대체하여 세로 가로로 확장 형태 제공 체크 박스의 선택 행위 최소화 - 디폴트를 비설정하여 유저가 스스로 ..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상위 기획 피드백 2차 + 개발단과 ERD 논의하기 + 지표 검증을 위한 가설 수립

    상위 기획 피드백 2차(디자이너와 개발자와 소통하기) - 피드백에서 의견이 갈린 내용 : 내 위치+위치별 스팟 리스팅 VS 위치별 스팟 개수 표시+전체 스팟 리스팅 기획파트) 프로덕트 기획의도가 '효율적 시간 활용' => 내 위치를 기준으로 효율적인 서칭 실현 디자인 파트) 미시적인 공간을 선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전체의 선택지를 유저에게 공유하여 풍부한 데이터 제공 기획파트는 내 위치 버튼을 없애고 전체 공간을 리스팅 대신 지도에 뿌리기로 결정함. 다만 위치별 스팟 개수 표출은 구현을 하지 않기로 함 - 이유 1. 디자인 파트 의견처럼 전체의 선택지를 보여주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함 => 풍부한 데이터 제공 실현 - 이유 2. 내 위치 버튼을 선택할 회수마다 api를 호출하게 되는데 효율성이 떨어짐..

    리텐션을 위한 전략 - AARRR & 아하 모먼트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인하우스의 업무 방식에 대해 배우고 있다. SQL을 이해하는 역량이 왜 중요한지, 지표를 볼 줄 아는 능력이 왜 중요한지 몸소 실감하고 있는 요즘이다. 리텐션을 위한 전략이 왜 필요할까? 프로덕트의 존재 이유는 '지속적인 유저를 통한 이익'이다. 유저는 프로덕트를 통해 가치를 얻고 이 유저 행동이 반복되면 리텐션이 발생한다. 즉, 리텐션은 지속적인 이 가치를 지속하기 위해 사용을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는 프로덕트가 지속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는 증거이며, 이를 통해 프로덕트는 성공적인 이익을 얻게 된다. 리텐션의 기준은 어떻게 잡을까? 리텐션은 프로덕트, 기업의 목적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이를 측정 하기 위해 주로 믹스 패널, GA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PM][서비스기획] 01_[UI 컴포넌트별 > UX 원칙 #2] 라디오 버튼 2

    라디오 버튼의 즉각적 선택 행위 인지 - 라디오 버튼을 선택할 때 안에 있는 두 번째 원이 작은 원으로 표시되어야 함 단, 예/아니오에 대한 라디오 버튼이라면 두 번째 모양이 체크 표시여도 됨 - 호버링 표시&컬러 처리(포인트 컬러랑 통일된 색)를 하여 사용자의 행동 현황을 표현해야 함 포인트 컬러는 브랜드 이미지색과 동일함 - 항목이 많아 더보기를 눌러야 하는 경우, 더보기를 누르기 전에는 디폴트 옵션이 없게 세팅 더 많은 항목을 소개하기 위한 전략 CTA 여부에 따른 버튼 구성 - CTA : Call To Action, 목표 달성을 위해 고객의 특정 반응이나 행동을 유도 고객 유지의 핵심이 되는 버튼 1인칭을 사용한 문구 중요! 더 많은 클릭을 부르는 CTA 버튼 놓치면 안돼! (pixso.net) ..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MVP 결과 + 상위 기획 피드백 + 약관 고도화(수집 유무에 따라 바뀌는 정책)

    MVP 결과(정책 수립 + 상위 기획) - TEST 플랫폼 : 토스 애즈 - 결과 페르소나로 선정한 20~30대 여성이 아닌 '40대 여성'의 인입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옴 기존 TEST 대비 (CTR 0.34%,CPC 1069원) 광고 배너 이미지 개선 + 문구 개선으로 CTR 7.4%, CPC 77원으로 지표개선 * 기존 TEST = https://chobotogosu.tistory.com/157 CTR = 광고 게재 수 대비 광고 클릭수 CPC = 클릭 당 발생하는 비용 A/B 중 B컨셉인 ' 직관적인 문구의 광고 배너'가 더 많은 인입률과 반응을 보임 Q. 왜 리서치와 상위 분석을 통해 선정된 페르소나가 아닌 다른 고객군이 가장 높은 인입률을 보인걸까? A. 확인결과 광고 플랫폼으로 사용된 토스애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