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과제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상위 기획 피드백 2차 + 개발단과 ERD 논의하기 + 지표 검증을 위한 가설 수립

    상위 기획 피드백 2차(디자이너와 개발자와 소통하기) - 피드백에서 의견이 갈린 내용 : 내 위치+위치별 스팟 리스팅 VS 위치별 스팟 개수 표시+전체 스팟 리스팅 기획파트) 프로덕트 기획의도가 '효율적 시간 활용' => 내 위치를 기준으로 효율적인 서칭 실현 디자인 파트) 미시적인 공간을 선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전체의 선택지를 유저에게 공유하여 풍부한 데이터 제공 기획파트는 내 위치 버튼을 없애고 전체 공간을 리스팅 대신 지도에 뿌리기로 결정함. 다만 위치별 스팟 개수 표출은 구현을 하지 않기로 함 - 이유 1. 디자인 파트 의견처럼 전체의 선택지를 보여주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함 => 풍부한 데이터 제공 실현 - 이유 2. 내 위치 버튼을 선택할 회수마다 api를 호출하게 되는데 효율성이 떨어짐..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MVP 결과 + 상위 기획 피드백 + 약관 고도화(수집 유무에 따라 바뀌는 정책)

    MVP 결과(정책 수립 + 상위 기획) - TEST 플랫폼 : 토스 애즈 - 결과 페르소나로 선정한 20~30대 여성이 아닌 '40대 여성'의 인입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옴 기존 TEST 대비 (CTR 0.34%,CPC 1069원) 광고 배너 이미지 개선 + 문구 개선으로 CTR 7.4%, CPC 77원으로 지표개선 * 기존 TEST = https://chobotogosu.tistory.com/157 CTR = 광고 게재 수 대비 광고 클릭수 CPC = 클릭 당 발생하는 비용 A/B 중 B컨셉인 ' 직관적인 문구의 광고 배너'가 더 많은 인입률과 반응을 보임 Q. 왜 리서치와 상위 분석을 통해 선정된 페르소나가 아닌 다른 고객군이 가장 높은 인입률을 보인걸까? A. 확인결과 광고 플랫폼으로 사용된 토스애즈..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5. 가설 오프라인 검증 및 시장 리서치 + UT를 위한 MVP 제작(정책 수립 + 상위 기획)

    가설 오프라인 검증 및 시장 리서치 - 현장 : 성수동 팝업 스토어 거리 - 인터뷰 (대상 : MZ, 오프라인행위 흥미를 가진 여성) 여성 a : 팝업스토어 3달에 한번 방문 /인스타 보고 찾아옴 / 팝업스토어 제품 산적 없음 여성 b : 팝업스토어 1-2주 한번 방문 / 어머니 직장 근처여서 자주 옴 / 팝업스토어 제품 산적 없음 / 어떤팝업 있는지 몰라직접 오프라인으로 탐방함 - 방문 버버리 팝업(유명 브랜드) : 시즌 쇼룸을 꾸밈 / 정찰제로 운영 / 참여 카페 + 굿즈 무지개맨션 팝업(신생 브랜드) : 브랜드의 시작과 상징 표현을 위한 꾸밈 / 정찰제로 운영 / 참여 이벤트 +굿즈 -기존 팀에서 생각한 가설 : 팝업 스토어는 브랜드가 상품 판매를 통한 수익 극대화를 목표로 오픈한다. - 추후 팀에..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2. 상위 아이템 선정 + 2차 미팅 (아이템 최종 선정)

    상위 아이템 선정 - 아이디에이션에서 무기명 투표로 TOP2를 선정함 - 선정 아이템 광고태우기 1. 광고 매체 선정/ 광고 상세 광고 방안 논의 : 새캠페인 만들기 > 트래픽 or 매출(수동 판매 캠페인) 확인 기기 기반 광고 이미지 + 문구 작성 => 벤치마킹 사례 확인 후 제작 [META] 저예산으로 페이스북 인스타 광고 시작 하기 - 마케팅 - 아이보스 (i-boss.co.kr) 1. 사이드 176의 TOP2 : 아맞다 우산 , 성수동 팝업 마스터 - 아맞다 우산 : 알람 기능 아이템 -> 날씨 챙겨주기, TO-DO LIST 메모장 팝업 기능해주기 -> 기한 고려 -> 둘 중 1가지 기능으로 세분화 타켓 -> 날씨 챙겨주기 기능 선정 - 성수동 팝업 마스터 -> 기한 고려 -> 세분화 타켓 -> ..

    [사이드프로젝트][사이드176] 1. 0차 미팅 (킥오프) + 1차 미팅(아이디에이션)

    팀원이 정해지고 킥오프 미팅을 하였다. PM님이 노련한 개발자이신 만큼 따라가면서 회고를 상세하게 적어야 겠다. 0차 미팅 (킥오프) - 각자 참여하게된 목적을 확인하고 목표를 하나로 정리 => 해당 작업은 아래 요소를 파악하는 바탕이 됨 아이템 선정 각자의 니즈 EX_이직러 : 결과물만 내면됨 이직러 60=> 80% 창업 : 결과물이 좋아야 함 => 결과물을 향한 열정조절 => 창업러 95 => 80% 조율 - 일정 조율 => 안되는 시간을 말한 다음 이를 제외한 일정 세팅 - 가벼운 아이디에이션 : 취미 생활을 공유하면, 그와 연계시켜 쉽게 아이디어를 도출 할 수 있음 => 모든 서비스는 고객이 사용을 해야지만 가치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취미에서부터 아이템을 도출하면 좋다 1차 미팅(아이디에이션) ..

    [비전공][기획/프로젝트매니징] 아무도 저한테 기회를 주지 않았거든요 - 내가 창업팀을 시작했던 이유

    사실 내 자격증은 중구난방이고, 단기간에 너무 많은 일을 했다. 쌩신입 시절부터 면접을 갈 때마다 질문을 받았다. 나도 알고 있다. 그 이유는 단순하고 난 이렇게 답할 수 밖에 없다. 나는 그저 내가 하고자한 일을 한 것일 뿐이다. 사실, 나는 사무직과 거리가 먼 삶을 살았다. 고등학생때까지 5년이 넘는 기간, 가수만을 준비했다. 정말 너가 뭐 되겠니? 로 평가 받던 시절도 있었지만 다수의 오디션 프로그램 참여 제안도 받았고 우리나라 최고의 기획사에서 캐스팅을 받기도 했다. 나는 그만큼 끈질기고 집요했다. 하지만 현실적 이유로, 도피성으로 대학에 진학했다. 희소성 하나만 보고 온 학과는 너무 맞지않았다. 생각외의 현실을 회피하고 싶었다. 인생에서 처음으로 목적없이 2년을 살았다. 그러다가 문득, 내가 가..